하이드로켐로고

(주)하이드로켐
HOME 공지사항

질문과답변

  • 질문과답변
    CONTACT US 033-644-3849

    평일 오전9시 - 오후6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과답변

    엄격한 서원건축에서도 성리학에서 벗어나려는 듯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텔레미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회   작성일Date 25-08-10 08:06

    본문

    <a href="https://pilatesguide.co.kr/shop/index.php?no=107" target="_blank" rel="noopener" title="창동필라테스" class="seo-link good-link">창동필라테스</a> 보이지 않는 변수와 해학이 숨어있기도 하다.

    함께 나란해야 할 동재(動直齋)와 서재(靜虛齋), 그런데 동재의 축 방향은 사당을 향하여 살짝 어긋나 있다. 유생들의 교실이자 기숙사는 대칭이며 똑같이 2개의 방과 1칸 마루 평면이지만 서재 윗방은 장서실이 있는 독특한 평면이다. 동재는 상급생, 서재는 하급생으로 높은 기단 위 입교당의 관찰 감시를 받는 강학공간이다.

    ‘가르침을 바로 세운다’는 입교당(入敎堂)은 서원의 중심이자 상징건축이다. 서원 당호는 곧 학문의 방침 교훈과도 같다. 입교당 현판은 한석봉 글씨이며 병산서원 현판은 조선 철종의 어필이다. 대청마루는 원장과 유생들의 강론장이며 좌우 방은 교무실 관사 기능이다. 서쪽(敬意齋)은 교수와 유사, 동쪽(명성재)은 원장으로 평면구조가 다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