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특임교수로 보드게임 제작 강의 “보드게임은 창의성 가르칠 최고의 방법 고정관념 없는 AI와 협업하며 만들어야” “(AI 시대에는) 바둑을 잘 두는 사람이 필요한 게 아니라 바둑을 만들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바둑을 잘 만들기 위해서는 인공지능(AI)과 협업해야 합니다. 인간은 고정관념에서 자유롭기 쉽지 않은데, 인공지능이 그런 역할을 해 줄 수 있습니다.”바둑기사인 이세돌 9단이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기계공학과 특임교수가 됐다. 이 교수는 이번 학기부터 ‘과학자를 위한 보드게임 제작’ 강의를 맡아 격주로 금요일에 6시간씩 강단에 선다. 박종래 UNIST 총장은 “이 교수는 AI와 인간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의를 촉발한 인물”이라며 “AI로는 불가능한 한 수로 통찰을 줬기 때문에 창의적인 통찰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세돌 울산과학기술원(UNIST) 특임교수가 11일 기자간담회에서 "바둑 잘 두는 사람보다 바둑 같은 보드게임을 잘 만들 사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UNIST 이 교수는 2016년 3월 구글 딥마인드가 만든 바둑 AI ‘알파고’와의 역사적인 대국에서 네 번 지고 1승을 거뒀다. 이 교수가 알파고를 이긴 제4국에서 흑돌 사이에 둔 78수의 끼움수가 ‘신의 한수’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 묘수 이후 알파고는 악수를 잇따라 뒀고, 이 교수가 초읽기까지 침착하게 대응하면서 소중한 1승을 챙겼다. 박 총장은 알파고를 누른 이 교수의 한 수가 AI 시대에 우리가 갖춰야 할 소양과 영감을 대표한다고 봤다.이 교수는 11일 UNIST 캠퍼스 공학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알파고와의 대국을 복기했다. 그는 “1국과 2국을 하고 정상적으로는 이기기 힘들다고 보고 3국부터 나름의 작전을 짜고 접근했다”며 “AI가 강한 극초반과 후반을 피해 50~100수 사이에 승부를 보자는 전략으로 접근을 했다”고 말했다.그는 78수 전에 68수가 승부수였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68수는 인간과의 대국이라면 절대 두면 안 되는 이상한 수였지만, 거기부터 알파고의 버그(오류)를 유도했다”며 “78수에서 알파고가 문제를 일으키면서 결국 승부수가 통한 것”이라고 말했다.〈장면도 1〉=상중앙에 산재한 백돌들의 퇴로가 차단된 상황. 이 백돌들이 고스란히 사로잡히면 백이 이기기 어려운 국면이다. 기사회생의 묘수가 필요한 시점에 백 1의 끼움수가 떨어졌다. 바로 이 수가 글자 그대로 기사회생의 묘수였다. 흑 2 이하 5까지 진행된 상황에서 A로 먹여쳐 패를 내UNIST 특임교수로 보드게임 제작 강의 “보드게임은 창의성 가르칠 최고의 방법 고정관념 없는 AI와 협업하며 만들어야” “(AI 시대에는) 바둑을 잘 두는 사람이 필요한 게 아니라 바둑을 만들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바둑을 잘 만들기 위해서는 인공지능(AI)과 협업해야 합니다. 인간은 고정관념에서 자유롭기 쉽지 않은데, 인공지능이 그런 역할을 해 줄 수 있습니다.”바둑기사인 이세돌 9단이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기계공학과 특임교수가 됐다. 이 교수는 이번 학기부터 ‘과학자를 위한 보드게임 제작’ 강의를 맡아 격주로 금요일에 6시간씩 강단에 선다. 박종래 UNIST 총장은 “이 교수는 AI와 인간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의를 촉발한 인물”이라며 “AI로는 불가능한 한 수로 통찰을 줬기 때문에 창의적인 통찰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세돌 울산과학기술원(UNIST) 특임교수가 11일 기자간담회에서 "바둑 잘 두는 사람보다 바둑 같은 보드게임을 잘 만들 사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UNIST 이 교수는 2016년 3월 구글 딥마인드가 만든 바둑 AI ‘알파고’와의 역사적인 대국에서 네 번 지고 1승을 거뒀다. 이 교수가 알파고를 이긴 제4국에서 흑돌 사이에 둔 78수의 끼움수가 ‘신의 한수’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 묘수 이후 알파고는 악수를 잇따라 뒀고, 이 교수가 초읽기까지 침착하게 대응하면서 소중한 1승을 챙겼다. 박 총장은 알파고를 누른 이 교수의 한 수가 AI 시대에 우리가 갖춰야 할 소양과 영감을 대표한다고 봤다.이 교수는 11일 UNIST 캠퍼스 공학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알파고와의 대국을 복기했다. 그는 “1국과 2국을 하고 정상적으로는 이기기 힘들다고 보고 3국부터 나름의 작전을 짜고 접근했다”며 “AI가 강한 극초반과 후반을 피해 50~100수 사이에 승부를 보자는 전략으로 접근을 했다”고 말했다.그는 78수 전에 68수가 승부수였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68수는 인간과의 대국이라면 절대 두면 안 되는 이상한 수였지만, 거기부터 알파고의 버그(오류)를 유도했다”며 “78수에서 알파고가 문제를 일으키면서 결국 승부수가 통한 것”이라고 말했다.〈장면도 1〉=상중앙에 산재한 백돌들의 퇴로가 차단된 상황. 이 백돌들이 고스란히 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