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월27일 오후 경북 영덕의 한 농가에서
▲ 3월27일 오후 경북 영덕의 한 농가에서 소똥 더미 속 보이지 않는 불씨와 싸우는 김동석 소방위(오른쪽)지난달 27∼28일 경북 산불 현장에 출동한 인천 계양소방서 김동석 소방위가 7일 언론에 '1박2일 분투기'를 보내왔습니다.김 소방위는 기고문에서 소화전도 드물고, 가로등도 없는 시골길을 오가며 가축 분뇨에 붙은 불을 끄려고 애를 써야 했던 상황을 생생하게 설명했습니다.또 전화 통화에서 "소똥에 붙은 불이 얼마나 무서운지 처음 절감했다"고 말했습니다.다음은 도시와 다른 경북 산불 진화 현장의 상황을 전하기 위한 김 소방위의 기고문입니다.◇ 3월27일 오전 3시쯤 인천 계양소방서에서 '화학차'를 타고 경북 영덕으로 향했습니다.전국 각지에서 소방차들이 모여드는 모습을 보며 긴장과 걱정이 교차했습니다.27일 오후 1시17분쯤 처음 출동한 현장은 영덕의 한 한우 축사였습니다.산 쪽에 가축분뇨 적치장이 있고, 길 건너에 축사가 있었습니다.축사는 전날의 화재로 크게 훼손된 상태였습니다.바닥에 남은 소똥과 왕겨에서 계속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었습니다.더 큰 문제는 길 건너 산기슭에 쌓인 소똥이었습니다.볏짚과 섞인 데다 마른 소똥은 불이 잘 붙고, 일단 불이 붙으면 잘 꺼지지도 않았습니다.겉에 물을 뿌려도 속에는 불씨가 살아 있을 때가 많았고, 바람이 강한 탓에 언제든 불꽃을 일으켜 산불로 번질 위험이 있었습니다.3명이 팀을 이뤄서 한 명은 물을 뿌리고, 2명은 소똥을 갈퀴로 뒤집기를 되풀이했습니다.또 다른 문제는 산기슭에 드문드문 농가가 있는 곳이다 보니 소화전이 없었다는 점입니다.물이 떨어질 때마다 누군가가 10∼15분 거리의 소화전이 있는 곳으로 소방차를 몰아 물을 채우러 가고, 나머지 2명은 불길이 번지지 않게 현장을 지켜야 했습니다.낯선 곳에서 소화전을 어떻게 찾았느냐고? 요즘 '티맵' 앱을 보면 전국 어느 곳에서나 소화전을 찾을 수 있습니다.소방차가 물을 채우러 간 동안 불길이 다시 살아나지 않을까, 주변으로 번지지나 않을까 걱정했지만, 악전고투 끝에 다행히 산으로 불이 번지는 걸 막을 수 있었습니다.27일 밤이 되자 상황은 더욱 어려워졌습니다.낮에는 보이지 않던 불꽃들이 어둠 속에서 더욱 선명하게 드러났고, 119 신고가 쇄도했기 때문입니다.27일 오후 8시쯤 이번엔 영덕의 한 축사 마당에 쌓여 있던 대량의 사료용 볏짚이 불타는 현장으로 출동했습니다.포클레인까지 동원했지만, 불길이 쉽게 잡히지 않았습니다.다른 지역 소방차와 합동 작전을 펼쳤습니다.한 대가 불을 끄는 동안 다른 소방차가 소화전에 물을 채우러 ▲ 3월27일 오후 경북 영덕의 한 농가에서 소똥 더미 속 보이지 않는 불씨와 싸우는 김동석 소방위(오른쪽)지난달 27∼28일 경북 산불 현장에 출동한 인천 계양소방서 김동석 소방위가 7일 언론에 '1박2일 분투기'를 보내왔습니다.김 소방위는 기고문에서 소화전도 드물고, 가로등도 없는 시골길을 오가며 가축 분뇨에 붙은 불을 끄려고 애를 써야 했던 상황을 생생하게 설명했습니다.또 전화 통화에서 "소똥에 붙은 불이 얼마나 무서운지 처음 절감했다"고 말했습니다.다음은 도시와 다른 경북 산불 진화 현장의 상황을 전하기 위한 김 소방위의 기고문입니다.◇ 3월27일 오전 3시쯤 인천 계양소방서에서 '화학차'를 타고 경북 영덕으로 향했습니다.전국 각지에서 소방차들이 모여드는 모습을 보며 긴장과 걱정이 교차했습니다.27일 오후 1시17분쯤 처음 출동한 현장은 영덕의 한 한우 축사였습니다.산 쪽에 가축분뇨 적치장이 있고, 길 건너에 축사가 있었습니다.축사는 전날의 화재로 크게 훼손된 상태였습니다.바닥에 남은 소똥과 왕겨에서 계속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었습니다.더 큰 문제는 길 건너 산기슭에 쌓인 소똥이었습니다.볏짚과 섞인 데다 마른 소똥은 불이 잘 붙고, 일단 불이 붙으면 잘 꺼지지도 않았습니다.겉에 물을 뿌려도 속에는 불씨가 살아 있을 때가 많았고, 바람이 강한 탓에 언제든 불꽃을 일으켜 산불로 번질 위험이 있었습니다.3명이 팀을 이뤄서 한 명은 물을 뿌리고, 2명은 소똥을 갈퀴로 뒤집기를 되풀이했습니다.또 다른 문제는 산기슭에 드문드문 농가가 있는 곳이다 보니 소화전이 없었다는 점입니다.물이 떨어질 때마다 누군가가 10∼15분 거리의 소화전이 있는 곳으로 소방차를 몰아 물을 채우러 가고, 나머지 2명은 불길이 번지지 않게 현장을 지켜야 했습니다.낯선 곳에서 소화전을 어떻게 찾았느냐고? 요즘 '티맵' 앱을 보면 전국 어느 곳에서나 소화전을 찾을 수 있습니다.소방차가 물을 채우러 간 동안 불길이 다시 살아나지 않을까, 주변으로 번지지나 않을까 걱정했지만, 악전고투 끝에 다행히 산으로 불이 번지는 걸 막을 수 있었습니다.27일 밤이 되자 상황은 더욱 어려워졌습니다.낮에는 보이지 않던 불꽃들이 어둠 속에서 더욱 선명하게 드러났고, 119 신고가 쇄도했기 때문입니다.27일 오후 8시쯤 이번엔 영덕의 한 축사 마당에 쌓여 있던 대량의 사료용 볏짚이 불타는 현장으로 출동했습니다.포클레인까지 동원했지만, 불길이 쉽게 잡히지 않았습
▲ 3월27일 오후 경북 영덕의 한 농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