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로켐로고

(주)하이드로켐
HOME 공지사항

고객지원

  • 고객지원
  • 온라인문의
  • 고객지원

    CONTACT US 031-8084-3686

    평일 오전9시 - 오후6시
    토,일,공휴일 휴무

    온라인문의

    [이데일리 김현식 기자] “한국 관객들이 19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회   작성일Date 25-04-04 16:07

    본문

    [이데일리 김현식 기자] “한국 관객들이 19년 전 그때처럼 뜨거운 반응을 보내주셨으면 합니다.” 펠릭스 그레이(사진=마스트엔터테인먼트) 뮤지컬 ‘돈 주앙’(사진=마스트인터내셔널) 뮤지컬 ‘돈 주앙’ 극본과 음악을 담당한 프랑스 출신 싱어송라이터 펠릭스 그레이는 지난 1일 서울 중구의 한 호텔에서 진행한 라운드 인터뷰에서 내한공연을 앞둔 소감을 이 같이 밝혔다. ‘돈 주앙’은 2004년 초연 이후 전 세계에서 100만 명이 넘는 관객을 끌어모은 프랑스 뮤지컬이다. 여자를 쾌락과 정복의 대상으로만 여기는 오만한 스페인 귀족 청년인 주인공 돈 주앙의 삶과 사랑, 성장에 관한 이야기를 그리는 이 작품은 4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내한공연을 진행한다. 내한공연이 다시 이뤄지는 것은 2006년 이후 19년 만이다.그레이는 “‘돈 주앙’을 처음 만들 당시엔 다른 나라에서 공연이 이뤄질 것이라는 예상을 하지 못했다”며 “그렇기에 2006년 한국을 처음 찾았을 때 관객들의 열광적인 반응에 놀랐던 기억이 난다”고 말했다. 뮤지컬 ‘돈 주앙’(사진=마스트인터내셔널) 내한공연을 다시 열기까지 오랜 시간에 걸린 이유에 대해선 “2019년 세계 투어가 예정돼 있었는데 코로나19 대유행 여파로 계획이 엉켰다. 당시 한국 공연도 진행하려고 했다”며 “더 일찍 오고 싶었지만 여건이 되지 않았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페인 작가 티르소 데 몰리나가 민담을 바탕으로 집필해 1616년 발표한 소설 주인공인 돈 주앙은 서양 문화권에서 ‘옴므파탈 아이콘’으로 통한다. 수 세기 동안 문학, 연극, 오페라, 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 작품 소재로 쓰였다. 그레이는 각색을 통해 원작에 자신만의 감성을 불어넣었다. 돈 주앙이 저주에 걸려 진정한 사랑을 깨닫게 된다는 설정을 통해 같은 소재를 다룬 타 작품들과의 확실한 차별점도 만들었다.그는 “뮤지컬을 만들기로 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른 인물이 수많은 예술가를 매료시킨 돈 주앙이었다”며 “무엇보다 확실한 카리스마를 가진 인물이라는 점이 가장 끌렸다”고 설명했다.이어 “사랑이란 감정을 한 번도 느껴보지 못한 돈 주앙이 진정한 사랑을 알게 되면 어떤 상[표지이야기] 경북 의성군 산불 발생 나흘째인 2025년 3월25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하화1리에 강풍에 날아온 산불 불씨로 인한 화재가 발생해 있다. 연합뉴스 경남 산청, 경북 의성 등지에서 발생해 2025년 3월27일 현재까지 27명이 숨지고 3만6천㏊의 산림을 앗아간 ‘2025년 산불’은 역대 최악의 재앙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그런데 현장에서 산불의 흔적을 쫓아가다보면 뜻밖에도 사람의 흔적을 반복적으로 만나게 된다. 원래 울창한 숲의 입구가 있어야 할 산자락 비탈까지 메마른 풀밭과 경작지가 있었다. 다양한 산림이 존재해야 할 숲에 소나무가 주로 자리를 잡고 있었다. 조림·훼손 등과 같은 인위적인 손길이 숲을 왜곡시킨 것이다. 그러면서 깊은 골짜기까지 볕이 잘 들고 바람이 솔솔 통했다. 함부로 길을 내고 반복적으로 숲 가꾸기(솎아베기)를 했기 때문이다.‘숲 가꾸기는 산림 내 연료 물질을 제거하여 산불 위험성을 크게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2025년 3월10일 산림청은 보도설명자료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그런데 현장에서 보면, 큰 나무만 남기는 숲 가꾸기는 소나무를 남기고 참나무류 등 활엽수나 떨기나무, 덩굴 등을 모두 제거하는 사업으로 운용되고 있다. 물기를 많이 머금은 활엽수림이 다른 나무들과 함께 빽빽한 숲을 이루면서 바람을 약화하고 산불 확산을 막아줬는데, 소나무 단순림은 풍부한 기름 성분(수지)으로 인해 산불을 숲 우듬지로 끌어올린 뒤 멀리 확산시킨 불 폭탄 노릇을 한 것이다.게다가 산림청장은 2022년 6월3일 경남 밀양 산불을 두고 ‘임도가 없어서 진화 인력과 소방차가 접근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는 취지로 이야기한 적이 있다. 하지만 잘 닦인 임도가 있었던 ‘경남 두양리의 은행나무’와 ‘경북 의성의 고운사’가 이번 산불로 홀라당 타버렸다. 이 점을 지적하니 산림청은 “장비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기후위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려웠다”는 변명을 늘어놓았다. 임도가 숲의 건조와 산불 확산의 원인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반성과 책임감을 보이지 않은 것이다.오래전부터 소방청이 산불 진화 업무를 해야한다는 지적이 있어왔지만, 산림청은 전문성을 이유로 이 업무를 꽉 틀어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