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스상위
오늘의 곡은 그녀가 1996년에 발표한 앨범 『 Dedicated to the One I Love 』에서 한때 그녀의 백 보컬로 활동한 바 있던 발레리 카터(Valerie Carter)와 같이 듀엣으로 “Devoted to you”를 리메이크하여 발표한 버전입니다.에벌리 브라더스3. 2차 리메이크 :린다 론스타트(Linda Ronstadt)&발레리 카터(Valerie Carter) - Devoted to you(1996)이 두 사람은 한때 부부였었지만 1981년에 이혼을 하게 되었는데, 이혼을 하기 전인 1978년 칼리의 앨범 『 Boys in the Trees 』에 부부 듀엣곡으로 “Devoted to you”를 리메이크하여 수록한 적이 있었습니다.에벌리 브라더스(Everly Brothers)?돈 에벌리(Don Everly)와 필 에벌리(Phil Everly0의 형제 듀오인에벌리 브라더스(Everly Brothers)는 1954년에 결성되어 두 번째 싱글인 ‘Bye bye love’를 발표하면서부터 인기를 얻기 시작하여 ‘Wake up little Susie’, 그리고 지난번에 전해 드린 ‘All I Have to Do Is Dream’ 등을 발표하면서 스타 듀오가 되었었지요.우리에게는 ‘You're So Vain’이라는 곡으로 유명한 싱어송라이터로서 이후에도 가수로서, 그리고 작곡가로서 많은 영화음악에 관여했던 뮤지션이지요.당시 빌보드 싱글 차트 36위에 올랐던 적이 있었는데, 오늘 이 버전을 1차 리메이크 버전으로 들려드립니다.오늘의 2차 리메이크 버전은린다 론스타트(Linda Ronstadt)의 1996년의 목소리로 “Devoted to you” 들려드립니다.너무 오래전 음악이어서 모른다는 분들이 많으실 것으로 생각되긴 합니다만 역시 한국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은 바 있는 명곡이어서 아시는 분들도 많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지난달 말 경에 ‘All I have to do is dream’의 원곡과 리메이크 편에 원곡자로 나왔던 팀이 오늘 다시 원곡자로 올랐습니다.혼성 듀엣 버전입니다.남성 듀엣 버전입니다.들어본 이름 같다 생각되시는 분 계시는가요?1970년대에 활동했던 여성 뮤지션 중에칼리 사이먼(Carly Simon)이라는 가수가 있었습니다.우리에게는 ‘You've Got A Friend’, ‘Handy man’ 등으로 유명한 남성 포크 뮤지션입니다.전성기 시절에는 포크, 팝, 록 등 다양한 음악으로 팬들을 만나곤 했지만 90년대 이후에는 컨트리 음악을 하면서 돌리 파튼, 에밀루 해리스 등과 함께 트리오로 활동하기도 했었지요.린다 론스타트(Linda Ronstadt)는 ‘Long long time’, ‘It’s so easy’ 등으로 유명한 뮤지션으로 전성기 시절 한때는 이글스(Eagles)라는 백밴드를 거느릴 만큼 대형 가수였는데 현재는 노환으로 인한 병환으로 팝계를 은퇴한 뮤지션이지요.#Devotedtoyou#Devotedtoyou원곡#에벌리브라더스#린다론스타트Devotedtoyou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미국 정부가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한 가운데 한국에 대한 관세율 수치가 달라 혼선을 빚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25%라고 밝혔지만 이후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로 적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백악관은 행정명령 부속서에 표기된 26%가 맞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 가든에서 관세에 관한 연설을 하고있다. (사진=로이터) 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상호관세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국가별 관세율이 적힌 설명 자료를 직접 들고 각 국가를 하나하나 짚어가며 설명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서 한국의 관세율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행사 때 제시한 자료에는 한국에 적용할 상호관세율이 25%로 표기돼 있었다.백악관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공개한 각국의 관세율 표에도 한국은 25%로 적시됐다.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서명 이후 올라온 백악관이 공개한 상호관세 관련 팩트시트엔 한국에 부과되는 관세율은 26%로 기재됐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와 1%포인트 차이나는 수치다.이러한 관세율 차이에 대해 백악관 측은 “행정명령 부속서에 표기된 수치(26%)를 따라야 한다고 밝혔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다만 이 당국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용했던 자료와 행정명령 부속서에 한국의 상호관세율이 달리 표기된 이유에 대해선 설명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행정명령 부속서에는 한국 외에도 인도(26→27%), 스위스(31→32%), 남아프리카공화국(30→31%), 필리핀(17→18%), 파키스탄(29→30%), 세르비아(37→38%), 보츠와나(37→38%) 등도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 발표 당시 들고 있던 자료보다는 관세율이 1%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와 있다.이소현 (atoz@edaily.co.kr)
플레이스상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