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국내 공학전문가 고령화 진행…“다각적 인재 키워야”
페이지 정보
본문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지난 4년간 국내 이공계 고등교육 졸업자(학사·석사·박사) 증가율이 과학기술 분야에 고용된 인력, 즉 과학기술인력의 증가율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전자공학 기술자 등 공학전문가는 중장년(40~50대) 인력 비중이 높아 빠른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최근 과학기술인력의 고용 특성과 시사점’ 보고서를 28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매해 4월 기준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는 2020년 163만3000명, 2021년 169만1000명, 2022년 179만1000명, 지난해 196만1000명으로 연평균 5.3% 증가했다.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20.0% 늘어난 것이다.
반면 이공계 대졸 이상 인력, 즉 학사·석사·박사 학위 소지자의 증가 폭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공계 대졸 이상 인력은 2020년 495만1000명, 2021년 505만6000명, 2022년 515만4000명, 지난해 566만명으로 연평균 3.6% 늘었다.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14.3% 증가한 셈이다.
이에 대해 경총은 과학기술 분야의 고등교육 인력 양성이 일자리 창출 속도를 따라오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소프트웨어 등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는 인력 미스매치도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월 기준 ICT 직종 사업체의 인력 미충원율은 26.7%에 달했다. ICT 분야 전문가의 여성 비율은 16.4%로 여성 인력 진출도 활성화되지 못했다.
공학전문가의 고령화도 심화하고 있다. 국내 공학전문가 중 50대 이상 인력 비중은 24.4%로 ICT 분야(14.5%) 대비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공학전문가의 여성 비율도 12.4%로 낮았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대학 교육시스템 혁신과 청년·여성인력 활용 확대 등 다각적인 인재 육성정책을 통해 첨단과학 기술 인재를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내년도 예산 편성 작업을 진행 중인 기획재정부가 앞서 2023년도 연구·개발(R&D) 예산을 31조1000억원으로 집계했다가 최근 들어 29조3000억원으로 정정했다. 기재부는 올해 예산안을 지난해 9월 국회에 제출하기 전부터 새 기준을 적용했다고 밝혔지만, 예산안 국회 통과 직후인 지난해 12월에도 2023년도 R&D 예산 규모를 31조1000억원으로 공식 발표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가 입맛대로 R&D 예산 수치를 바꾸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재부는 지난 22일 보도설명자료를 통해 내년도 R&D 예산은 시스템 개혁과 함께 2023년 29조3000억원 대비 확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2023년 R&D 예산은 31조1000억원이라던 기존 발표를 뒤집은 것이다(경향신문 5월22일자 6면 보도).
기재부는 ‘R&D 예산을 대폭 인상하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하고 있다. 이런 민감한 시기에 R&D 기준을 재분류했다고 거듭 밝힌 것이다.
기재부는 2024년 R&D 예산 편성 과정에서 2023년 R&D 31조1000억원 중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권고기준상 R&D로 분류하지 않는 대학 일반지원 성격 사업 등 1조8000억원을 비R&D로 재분류했다고 밝혔다. 이어 2024년 예산안 편성 시 1조8000억원 이관분을 제외한 2023년 R&D 29조3000억원을 토대로 최종 2024년 R&D 26조5000억원(전년 대비 -2조8000억원)을 편성했다고 했다.
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기재부가 2024년도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했을 때는 지난해 9월이다. 기재부 논리대로라면 최소한 예산안 편성 당시인 지난해 9월 이전부터 2023년도 R&D 예산안 수치는 31조1000억원이 아닌 29조3000억원으로 수정됐어야 한다.
기재부는 해를 넘겨 올 2월 발표한 ‘2024년 나라살림 예산 개요’ 자료에도 2023년 R&D 예산안을 31조1000억원으로 명시했다. 다만 같은 자료의 ‘정부 R&D 투자 추이’ 그래프에서는 2023년 R&D 예산을 29조3000억원으로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7일 그간의 삭감 기조를 바꿔 R&D 예비타당성조사 폐지와 투자 규모 대폭 확충을 지시했다. 그러나 기재부는 역대급 세수 펑크로 재정 여력이 크지 않아 R&D 예산을 늘리기 어려운 처지다. 기재부가 2023년 R&D 예산을 31조1000억원이 아닌 29조3000억원으로 집계하면, 정부가 대폭 삭감한 ‘R&D 원상회복’을 위한 증액 기준도 4조6000억원에서 2조8000억원으로 줄어든다.
기재부 측은 예산안을 편성할 때와 정부가 통계를 낼 때 서로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손종필 나라살림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R&D 예산 수치를 갑자기 바꾸면 국민에게 혼란만 준다며 기재부 입맛대로 R&D 예산 기준 잣대를 만든 것 같다고 지적했다.
창밖으로 보이는 푸른 한강과 하늘, 강변의 녹음이 눈을 환하게 만든다. 한강 조망이 가능한 교량호텔 ‘스카이 스위트, 한강브릿지, 서울’(스카이 스위트)의 첫인상이다.
서울시는 28일 오전 한강대교 전망호텔 ‘스카이 스위트’에서 글로벌 홍보 이벤트를 열고 호텔을 공개했다. 이날 이벤트에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데이브 스티븐슨 에어비앤비 최고사업책임자(CBO) 등이 참석했다.
스카이 스위트는 한강대교 상부(용산구 양녕로 495)에 있던 직녀카페를 리모델링한 것으로, 서울시가 에어비앤비와 함께 기획하고 제작했다.
한강대교 용산 방면 초입에 위치해 쉽게 찾아갈 수 있다. 출입은 계단과 엘리베이터로 가능하다. 총 144.13㎡(약 44평) 규모에 침실, 거실, 욕실, 간이 주방을 갖췄으며 최대 4명까지 입실할 수 있다.
문을 열고 들어서면 우선 거실이 눈에 들어온다. 거실 양옆으로 큰 창이 나 있어 교량과 차들이 주차된 둔치 등 한강변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거실 한 벽면이 책장으로 꾸며져 있는데 LP판이 빽빽이 꽂혀 있다. 잔잔한 음악이 흘러나오는 오디오는 인테리어용으로 유명한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이탈리아 하이엔드 제품이다. 거실 소파도 붉은색, 노란색 등 선명한 색감을 살려 배치했는데, 인테리어에 신경을 썼다는 생각이 든다. 거실 천장은 유리로 마감해 도시 야경과 하늘을 올려다볼 수 있도록 했다.
거실과 침실이 문으로 나눠져 있지는 않지만, 계단으로 공간 분리가 돼 있다. 침실 남서쪽에 큰 통창을 설치해 노들섬에서 여의도까지 이어지는 한강의 전경을 한눈에 즐길 수 있다.
침실 옆에 욕실이 딸려있고 화장실도 있다. 침실과 욕실 사이에 문이 따로 있진 않았는데, 정식 영업에 맞춰 커튼을 설치해 공간 구분을 할 예정이라고 했다. 침실과 욕실, 거실 창에 블라인드도 설치할 예정이다. 바닥 난방도 돼 겨울철에도 추위 걱정은 없다고 한다.
창은 반 정도 열 수 있게 돼 있으나 차량 먼지 등을 생각하면 마음 놓고 열기는 힘들어 보인다. 창문을 모두 닫았지만, 대교를 오가는 차량 소음이 조금은 들린다.
객실이 하나뿐인 호텔이라는 아쉬움이 있을 수도 있다. 오 시장은 비록 룸 하나 짜리 호텔이지만 엄청난 의미를 갖고 있다면서 세계인에게 다가가는 한강을 만들기 위해 심기일전하겠다고 말했다.
데이브 스티븐슨 에어비앤비 CBO는 스카이 스위트가 한강의 멋진 경관과 한국의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고자 하는 전 세계여행자들에게 필수 여행 코스가 될 것이라고 했다.
스카이 스위트 정식 개관은 7월 16일이며, 7월 1일부터 에어비앤비를 통해 예약할 수 있다. 숙박 요금은 34만5000원에서 50만원 사이다.
이날 호텔 개관 첫날 무료로 숙박할 체험자들도 발표됐다. 1호 체험자는 사회복지시설에서 중학교 1학년 자녀와 함께 사는 비혼모 이모씨다. 서울시는 당초 무료숙박 대상으로 1팀만 뽑을 계획이었으나, 신청자가 6203명으로 많아, 이씨 외에 2팀이 더 무료숙박 대상으로 뽑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최근 과학기술인력의 고용 특성과 시사점’ 보고서를 28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매해 4월 기준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는 2020년 163만3000명, 2021년 169만1000명, 2022년 179만1000명, 지난해 196만1000명으로 연평균 5.3% 증가했다.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20.0% 늘어난 것이다.
반면 이공계 대졸 이상 인력, 즉 학사·석사·박사 학위 소지자의 증가 폭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공계 대졸 이상 인력은 2020년 495만1000명, 2021년 505만6000명, 2022년 515만4000명, 지난해 566만명으로 연평균 3.6% 늘었다.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14.3% 증가한 셈이다.
이에 대해 경총은 과학기술 분야의 고등교육 인력 양성이 일자리 창출 속도를 따라오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소프트웨어 등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는 인력 미스매치도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월 기준 ICT 직종 사업체의 인력 미충원율은 26.7%에 달했다. ICT 분야 전문가의 여성 비율은 16.4%로 여성 인력 진출도 활성화되지 못했다.
공학전문가의 고령화도 심화하고 있다. 국내 공학전문가 중 50대 이상 인력 비중은 24.4%로 ICT 분야(14.5%) 대비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공학전문가의 여성 비율도 12.4%로 낮았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대학 교육시스템 혁신과 청년·여성인력 활용 확대 등 다각적인 인재 육성정책을 통해 첨단과학 기술 인재를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내년도 예산 편성 작업을 진행 중인 기획재정부가 앞서 2023년도 연구·개발(R&D) 예산을 31조1000억원으로 집계했다가 최근 들어 29조3000억원으로 정정했다. 기재부는 올해 예산안을 지난해 9월 국회에 제출하기 전부터 새 기준을 적용했다고 밝혔지만, 예산안 국회 통과 직후인 지난해 12월에도 2023년도 R&D 예산 규모를 31조1000억원으로 공식 발표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가 입맛대로 R&D 예산 수치를 바꾸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재부는 지난 22일 보도설명자료를 통해 내년도 R&D 예산은 시스템 개혁과 함께 2023년 29조3000억원 대비 확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2023년 R&D 예산은 31조1000억원이라던 기존 발표를 뒤집은 것이다(경향신문 5월22일자 6면 보도).
기재부는 ‘R&D 예산을 대폭 인상하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하고 있다. 이런 민감한 시기에 R&D 기준을 재분류했다고 거듭 밝힌 것이다.
기재부는 2024년 R&D 예산 편성 과정에서 2023년 R&D 31조1000억원 중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권고기준상 R&D로 분류하지 않는 대학 일반지원 성격 사업 등 1조8000억원을 비R&D로 재분류했다고 밝혔다. 이어 2024년 예산안 편성 시 1조8000억원 이관분을 제외한 2023년 R&D 29조3000억원을 토대로 최종 2024년 R&D 26조5000억원(전년 대비 -2조8000억원)을 편성했다고 했다.
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기재부가 2024년도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했을 때는 지난해 9월이다. 기재부 논리대로라면 최소한 예산안 편성 당시인 지난해 9월 이전부터 2023년도 R&D 예산안 수치는 31조1000억원이 아닌 29조3000억원으로 수정됐어야 한다.
기재부는 해를 넘겨 올 2월 발표한 ‘2024년 나라살림 예산 개요’ 자료에도 2023년 R&D 예산안을 31조1000억원으로 명시했다. 다만 같은 자료의 ‘정부 R&D 투자 추이’ 그래프에서는 2023년 R&D 예산을 29조3000억원으로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7일 그간의 삭감 기조를 바꿔 R&D 예비타당성조사 폐지와 투자 규모 대폭 확충을 지시했다. 그러나 기재부는 역대급 세수 펑크로 재정 여력이 크지 않아 R&D 예산을 늘리기 어려운 처지다. 기재부가 2023년 R&D 예산을 31조1000억원이 아닌 29조3000억원으로 집계하면, 정부가 대폭 삭감한 ‘R&D 원상회복’을 위한 증액 기준도 4조6000억원에서 2조8000억원으로 줄어든다.
기재부 측은 예산안을 편성할 때와 정부가 통계를 낼 때 서로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손종필 나라살림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R&D 예산 수치를 갑자기 바꾸면 국민에게 혼란만 준다며 기재부 입맛대로 R&D 예산 기준 잣대를 만든 것 같다고 지적했다.
창밖으로 보이는 푸른 한강과 하늘, 강변의 녹음이 눈을 환하게 만든다. 한강 조망이 가능한 교량호텔 ‘스카이 스위트, 한강브릿지, 서울’(스카이 스위트)의 첫인상이다.
서울시는 28일 오전 한강대교 전망호텔 ‘스카이 스위트’에서 글로벌 홍보 이벤트를 열고 호텔을 공개했다. 이날 이벤트에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데이브 스티븐슨 에어비앤비 최고사업책임자(CBO) 등이 참석했다.
스카이 스위트는 한강대교 상부(용산구 양녕로 495)에 있던 직녀카페를 리모델링한 것으로, 서울시가 에어비앤비와 함께 기획하고 제작했다.
한강대교 용산 방면 초입에 위치해 쉽게 찾아갈 수 있다. 출입은 계단과 엘리베이터로 가능하다. 총 144.13㎡(약 44평) 규모에 침실, 거실, 욕실, 간이 주방을 갖췄으며 최대 4명까지 입실할 수 있다.
문을 열고 들어서면 우선 거실이 눈에 들어온다. 거실 양옆으로 큰 창이 나 있어 교량과 차들이 주차된 둔치 등 한강변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거실 한 벽면이 책장으로 꾸며져 있는데 LP판이 빽빽이 꽂혀 있다. 잔잔한 음악이 흘러나오는 오디오는 인테리어용으로 유명한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이탈리아 하이엔드 제품이다. 거실 소파도 붉은색, 노란색 등 선명한 색감을 살려 배치했는데, 인테리어에 신경을 썼다는 생각이 든다. 거실 천장은 유리로 마감해 도시 야경과 하늘을 올려다볼 수 있도록 했다.
거실과 침실이 문으로 나눠져 있지는 않지만, 계단으로 공간 분리가 돼 있다. 침실 남서쪽에 큰 통창을 설치해 노들섬에서 여의도까지 이어지는 한강의 전경을 한눈에 즐길 수 있다.
침실 옆에 욕실이 딸려있고 화장실도 있다. 침실과 욕실 사이에 문이 따로 있진 않았는데, 정식 영업에 맞춰 커튼을 설치해 공간 구분을 할 예정이라고 했다. 침실과 욕실, 거실 창에 블라인드도 설치할 예정이다. 바닥 난방도 돼 겨울철에도 추위 걱정은 없다고 한다.
창은 반 정도 열 수 있게 돼 있으나 차량 먼지 등을 생각하면 마음 놓고 열기는 힘들어 보인다. 창문을 모두 닫았지만, 대교를 오가는 차량 소음이 조금은 들린다.
객실이 하나뿐인 호텔이라는 아쉬움이 있을 수도 있다. 오 시장은 비록 룸 하나 짜리 호텔이지만 엄청난 의미를 갖고 있다면서 세계인에게 다가가는 한강을 만들기 위해 심기일전하겠다고 말했다.
데이브 스티븐슨 에어비앤비 CBO는 스카이 스위트가 한강의 멋진 경관과 한국의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고자 하는 전 세계여행자들에게 필수 여행 코스가 될 것이라고 했다.
스카이 스위트 정식 개관은 7월 16일이며, 7월 1일부터 에어비앤비를 통해 예약할 수 있다. 숙박 요금은 34만5000원에서 50만원 사이다.
이날 호텔 개관 첫날 무료로 숙박할 체험자들도 발표됐다. 1호 체험자는 사회복지시설에서 중학교 1학년 자녀와 함께 사는 비혼모 이모씨다. 서울시는 당초 무료숙박 대상으로 1팀만 뽑을 계획이었으나, 신청자가 6203명으로 많아, 이씨 외에 2팀이 더 무료숙박 대상으로 뽑혔다.
- 이전글Сколько стоит утепл 24.05.28
- 다음글Утепление дома снар 24.05.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