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로켐로고

(주)하이드로켐
HOME 공지사항

온라인문의

  • 온라인문의
    CONTACT US 031-8084-3686

    평일 오전9시 - 오후6시
    토,일,공휴일 휴무

    온라인문의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연금개혁안 처리하자” 이재명, 영수회담 제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진주꽃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333회   작성일Date 24-05-25 23:45

    본문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연금특위 이견 못 좁힌 소득대체율…여 ‘43%’ 야 ‘45%’ 팽팽이 대표의 제안 계기로 ‘여야 44% 절충’ 극적 타협될지 주목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3일 제21대 국회에서 연금개혁안을 처리하기 위한 영수회담을 제안했다. 다만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논의에서 여야가 끝내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소득대체율과 관련해서는 민주당의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여권은 영수회담이 아니라 여야 합의가 중요하다며 이 대표의 제안은 오는 28일 본회의 강행을 위한 명분을 쌓으려는 정략이라고 비판했다. 21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를 5일 앞두고 나온 이 대표의 제안을 계기로 여야 간 연금개혁안 논의가 재개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민주당은 조속한 개혁안 처리를 위해 소득대체율을 당초 제시했던 50%에서 45%로 낮추겠다는 결단을 내렸다며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5% 방안은 윤석열 정부가 제시했던 안이기도 하다고 적었다. 이 대표는 이어 정부·여당이 결단만 한다면 28일 본회의에서 연금개혁안이 처리될 수 있다며 이 문제와 관련해 대통령과 영수회담을 개최할 용의가 있다는 말씀도 드린다고 했다.
    이 대표는 앞서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참석을 위해 경남 김해 봉하마을로 이동하는 차 안에서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하며 오늘 공식적으로 당신들(정부·여당)의 안을 받을 테니 처리하자고 입장을 내겠다며 전향적으로 여당이 협력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이 정부 안을 수용해서 제안한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5%’를 여당이 받아들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국민의힘은 즉각 반박했다. 제21대 국회 연금특위 여당 간사인 유경준 의원은 SNS에서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5% 안은 민주당이 주장한 안이라며 민주당 안이 윤석열 정부 안으로 둔갑하다니 기가 찰 노릇이라고 반박했다.
    유 의원은 재차 글을 올려 여당 간사가 모르는 안이 어찌 여당 안이 될 수가 있나. 거짓말도 정도껏 하기 바란다고 적었다. 그는 또 지난 10일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의 연금개혁 수정안을 공개적으로 제안한 바 있다며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수정안에 대해 2주가 다 되도록 침묵하다가, 이제야 21대 국회에서 꼭 개혁해야 한다고 하는 저의가 무엇인가라고 반문했다.
    여당 연금특위 위원인 배준영 원내수석부대표도 입장문을 내고 윤석열 정부는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5%를 제시한 바 없다며 이 안은 민주당의 제안이다. 민주당 주장을 민주당 대표가 수용한다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는 28일 합의 없는 국회 본회의 강행 명분을 쌓으려는 정략으로 보인다며 대통령이 연금개혁에 명확한 의지를 밝혔는데도 영수회담을 거론하며 압박하는 것은 또 다른 거부권처럼 보이게 하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역대 정부 최초로 국회에서 연금개혁 논의에 필요한 모든 자료를 제공했다며 국회의 합의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영수회담 제안에 대해 거절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지난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21대 국회 연금특위의 어떤 실적이나 성과로서 조급하게 마무리할 것이 아니라 22대 국회로 넘기고, 다만 제 임기 안에는 이것이 확정될 수 있도록 정부도 적극 협력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21대 국회에서 여야의 연금개혁안 협상은 사실상 좌초된 상태다. 연금 보험료율은 13% 인상하는 데 뜻을 모았지만 소득대체율에서 2%포인트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득대체율을 두고 국민의힘은 43%, 민주당은 45%를 주장하며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여야는 지난 7일 국회 연금특위에서 막판 타협을 시도했지만 절충안 마련에 실패했다.
    여야는 연금개혁안 마련 주체를 두고도 이견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과 정부가 개혁안 마련에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연금개혁을 위한 구체적 수치는 여야 협의를 통해 풀어갈 문제라는 입장이다.
    결국 여야가 현재와 같은 입장을 유지한다면 21대 국회에서 연금개혁안 마련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 대표의 이날 제안이 소득대체율 44% 절충 등 중재안 합의의 시작점이 될지 주목된다. 막판 극적 타협이 이뤄진다면 국민연금법은 28일 상정될 수 있다. 국회 연금특위 야당 간사인 김성주 의원은 어제(22일) 김진표 국회의장께 여야 대표·원내대표 중재를 요청했다며 특검법을 다루더라도 국민연금법을 처리할 수 있도록 의사일정을 조정하겠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가상자산 비트코인에 이어 이더리움도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상장을 승인했다.
    SEC는 23일(현지시간) 반에크 등 자산운용사가 신청한 이더리움 현물 ETF에 대한 상장을 승인했다. 이는 지난 1월 비트코인 현물 ETF에 대한 승인을 내린 지 4개월여 만으로, 알트코인(비트코인을 제외한 가상자산)으로는 처음이다.
    SEC는 신중한 검토 끝에 위원회는 이 신청이 증권거래법 및 그에 따른 규칙, 규정과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반에크가 신청한 이더리움 현물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ETF의 결정 시한은 이날까지였다. 아크 21셰어즈, 해시덱스, 피델리티, 블랙록 등 다른 자산운용사도 신청서를 제출한 바 있다.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SEC가 이더리움 현물 ETF를 승인하지 않을 것이란 가능성에 무게가 실려 있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19일 이더리움 ETF 신청기업들과 SEC 간 비공개 대화가 이전의 비트코인 ETF 상장 승인 때에 비해 거의 없어 신청회사들은 승인 거부를 예상한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하루 뒤 이날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ETF 분석가 에릭 발추나스와 제임스 세이파르트가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이더리움 현물 ETF의 승인 확률을 25%에서 75%로 높인다고 밝히며 상황은 급반전됐다. 발추나스는 자신의 엑스(옛 트위터)에 SEC가 이 문제(점점 더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입장을 180도 바꿀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썼다.
    SEC는 지난 21일 반에크 등 이더리움 현물 ETF 신청 자산운용사에 증권신청서(19B-4)를 수정하라고 요청했다.
    현물 ETF 승인 전 개당 3700달러(약 506만원)대에서 거래되던 이더리움 가격은 3800달러(520만원)를 넘어섰다.
    같은 날 6만7000달러(약 9168만원) 아래까지 떨어졌던 비트코인 가격도 이더리움 ETF 승인 이후 6만8000달러(약 9305만원) 선에 육박하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