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로켐로고

(주)하이드로켐
HOME 공지사항

온라인문의

  • 온라인문의
    CONTACT US 031-8084-3686

    평일 오전9시 - 오후6시
    토,일,공휴일 휴무

    온라인문의

    “올해 강원 관광 회복세 뚜렷”···외국인 관광객 67.7% 증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진주꽃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369회   작성일Date 24-05-25 10:55

    본문

    강원도는 18개 시·군의 445개 주요 관광지의 입장객을 전수 조사한 결과, 올해 1분기 방문객은 1765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4%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23일 밝혔다.
    시기별로는 1월에 776만 명이 찾은 것을 비롯해 2월과 3월에 552만 명과 437만 명이 방문한 것으로 집계됐다.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은 곳은 속초(331만6000명)였다.
    그다음으로 정선(194만4000명), 화천(174만8000명), 춘천(164만1000명), 홍천(116만9000명) 등의 순이었다.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강원도를 찾은 관광객 1765만 명 가운데 내국인은 1721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소폭(2.4%) 증가했다.
    외국인 관광객은 44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7.7%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은 관광지는 춘천 남이섬(15만 명), 속초 설악산(4만 명), 춘천 강촌레일파크(3만 명) 등으로 실내보다는 자연 친화적인 야외 관광지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강원도는 K-콘텐츠 인기에 따라 한국 여행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면서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준태 강원도 관광국장은 급변하는 글로벌 관광 트렌드 변화에 신속히 대응해 관광객들의 수요에 맞는 콘텐츠를 개발해 선보이고 있다며 기반시설도 대폭 확충해 더욱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해병대 채 상병 특검법에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하면서 여당 내 재표결 이탈표 규모가 향후 정국을 가르게 됐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이탈표 단속 총력전에 나섰고 야당은 ‘소신 투표’를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오는 28일로 예정된 재표결에서 채 상병 특검법이 최종부결되면 22대 국회에서 재추진할 방침이다. 22대 국회에서는 여당 의원(108명) 중 8명이 찬성표를 던지면 대통령 거부권이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무력화된다.
    윤 대통령은 이날 거부권을 행사하며 채 상병 특검법을 국회로 돌려보냈다. 김진표 국회의장과 민주당은 여당이 의사 일정에 합의하지 않더라도 오는 28일 본회의를 열어 재표결에 나서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재의요구된 법안은 재적의원 과반수 출석, 출석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시 법률로 확정된다.
    구속 수감된 윤관석 무소속 의원을 제외한 재적의원 295명이 모두가 출석할 경우 재의결에는 197명 이상의 찬성표가 필요하다. 이 중 국민의힘 소속을 제외한 의원 수는 182명이다. 과거 국민의힘 소속이었던 하영제 무소속 의원과 특검법 반대 입장인 황보승희 자유통일당 의원을 제외하면 180명의 찬성표가 확보된 것으로 평가된다.
    관건은 국민의힘 113명 중 17명의 반대표가 나올 것인가다. 공개적으로 찬성표를 예고한 의원은 김웅·안철수 의원이다. 직전 정책위의장이었던 유의동 의원도 이날 SBS 유튜브에 출연해 찬성투표 가능성을 시사했다. 여기에 국민의힘 내 22대 총선 낙천·낙선·불출마 의원 55명 중 일부가 추가로 찬성표를 던질 수 있다. 무기명으로 투표가 이뤄진다는 점도 소신투표에 유리한 환경이다. 본회의 출석 여부도 관건이다. 불출석만으로도 재의결에 필요한 반대표 요건을 완화하는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우리 당도 대통령에게 확실하게 뭔가 보여줘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표 단속에 나섰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소신투표를 예고한 당 소속 의원들에 대해 많은 의원님들과 전직 원내대표이신 윤재옥 대표 그리고 제가 선두에 서서 의원님들을 개별적으로 다 접촉을 하고 있다며 당론 수준으로 진행하던 단일대오에 이상기류는 발견되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윤 전 원내대표 때부터 개별 의원들에게 최소 2~3차례 이상 전화를 돌리는 등 이탈표 단속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내각이나 공공기관 인선 가능성이 낙천·낙선자들을 망설이게 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민주당은 여당 내 소신투표를 기대하며 설득에 나섰다. 장경태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이번 21대에서 17명이 부디 양심 있는 투표를 해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개별 의원 차원의 설득도 이뤄지고 있다.
    재의결이 무산돼도 채 상병 특검 정국은 계속된다. 민주당은 재표결에서 부결되더라도 22대 국회에서 채 상병 특검법을 재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강선우 민주당 의원은 이날 BBS 라디오에서 부결이 됐다고 하면 22대 국회가 열리자마자 다시 발의할 것이라며 될 때까지 할 것이라고 말했다.
    22대 국회에서는 국민의힘 의원 수가 108명으로 8명의 이탈표만 나오면 윤 대통령의 거부권이 무력화된다. 21대 국회보다는 재의결에 필요한 여당 이탈표 규모가 적지만 가능성을 따지기는 쉽지 않다. 국민의힘의 결집도, 윤 대통령의 조기 레임덕(임기말 권력누수), 정계 이합집산 등 변수가 많기 때문이다. 22대 국회 여당 당선인 중 채 상병 특검법 찬성표결을 고려한다고 직·간접적으로 밝힌 인사는 안철수 의원, 김재섭·한지아 당선인 정도다.
    유럽연합(EU) 회원국 노르웨이와 아일랜드, 스페인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다고 공식 선언했다.
    2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들 3개국 총리는 이날 각자 기자회견을 열어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이전 경계를 기준으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한다고 밝혔다. 제3차 중동전쟁을 통해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동예루살렘과 요르단강 서안, 골란고원, 시나이반도 일부를 점령했다.
    요나스 가르 스퇴레 노르웨이 총리는 오는 28일부로 팔레스타인을 정식 국가로 인정한다면서 이번 조치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평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 수만명이 죽거나 다친 전쟁 와중에 우리는 이스라엘인과 팔레스타인 주민 모두에게 안전한 조국을 제공할 수 있는 한가지, 즉 서로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은 살려야 한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스퇴레 총리는 테러를 저지른 것은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지 않는 하마스와 무장단체라고 선을 그으면서 팔레스타인에는 독립 국가를 건설할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사이먼 해리스 아일랜드 총리도 오늘 아일랜드와 노르웨이, 스페인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기로 발표한다며 우리는 각각 이 결정을 유효화하기 위해 필요한 국가별 조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도 의회 연설을 통해 스페인 내각이 28일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승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스라엘은 즉각 반발했다. 영국 주재 이스라엘 대사관은 엑스(옛 트위터)에 글을 올려 이날 결정은 테러리즘에 대한 보상이라고 주장했다. 극우 성향 벤 그비르 이스라엘 국가안보장관은 이는 살인자들에게 상을 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외무장관은 노르웨이와 아일랜드 주재 자국 대사에게 즉각 귀환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또 스페인 주재 대사에게도 소환 명령을 내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팔레스타인은 이 3국의 결정을 환영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와 하마스 모두 환영 입장을 밝혔다.
    193개 유엔 회원국 중 지금까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 나라는 139개국에 달한다. EU 내에서는 불가리아·체코·헝가리·폴란드·스웨덴 등 동부·북부 유럽 9개 회원국이 이미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다. 이날 입장을 밝힌 3국 외에 슬로베니아도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어, 다음달 중순 이전까지 확정할 예정이다.
    유엔 총회는 지난 10일 팔레스타인이 유엔 헌장에 따라 정회원국으로 가입할 수 있는 자격을 충분히 갖췄다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팔레스타인의 정회원국 가입에 대한 긍정적 재고를 권고하는 결의를 채택했다. 또 팔레스타인에 유엔 총회 회의나 각종 유엔 회의에 참여할 수 있는 예외적인 권한을 부여하기로 했다. 팔레스타인은 현재 ‘옵서버 국가’ 자격을 부여받은 상태다.
    다만 유엔 안보리에서는 미국의 반대를 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팔레스타인은 2011년에도 독립국 지위를 얻기 위해 유엔 정회원국 가입을 신청했으나 미국의 반대로 무산됐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