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를 안전하게 보관해야 한다"며 지인의
페이지 정보

본문
"가상화폐를 안전하게 보관해야 한다"며 지인의 전자화폐 지갑 비밀번호를 알아낸 뒤 수십억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가로챈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A(34)씨 등 4명을 정보통신망법 위반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컴퓨터 등 사용 사기 등 혐의로 검거해 이 중 2명을 검찰에 구속 송치했다고 어제(25일) 밝혔습니다.A씨와 B(31)씨는 오래전부터 알고 지내던 피해자를 속여 전자지갑의 '니모닉코드'를 알아낸 뒤 지난해 1월 비트코인 45개(현 시세 60억7천만원 상당)를 자신들의 지갑으로 빼돌린 혐의를 받습니다.니모닉코드란 전자지갑을 복구할 때 사용하는 12∼24개의 영어 단어 조합으로, 이 단어들만 있으면 지갑 안의 모든 가상자산을 다른 기기에서 다시 복원할 수 있습니다.피해자는 2023년 1월께 "가상자산을 더 안전하게 보관할 방법이 있다"는 A씨와 B씨의 조언을 받아들여 '콜드월렛'(오프라인 지갑)으로 비트코인을 옮겼습니다.이들을 "니모닉코드를 종이에 적으면 화재에 취약하니 철제 판에 기록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피해자를 꼬드겼습니다. 이 말을 믿은 피해자는 관련 작업을 모두 이들에게 맡기고 니모닉코드도 불러줬습니다.그러나 이들은 피해자와의 대화를 휴대전화로 몰래 녹음하고 있었고 이를 이용해 약 1년 뒤 피해자의 비트코인 45개를 자신들의 지갑으로 옮겼습니다.이들은 범행에 태국인을 끌어들이고 비트코인을 여러 차례 나눠 이체하는 '믹싱'(mixing) 방식으로 출처 확인을 어렵게 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태국 현지 암시장에서 비트코인 20개를 바트화로 바꿔 '세탁'하기도 했습니다.경찰은 약 10개월 동안 비트코인을 추적한 끝에 피의자들을 특정했고 올해 2월 태국인 공범을 인천국제공항에서 체포해 구속 송치했습니다. 범행을 주도한 A씨 역시 지난 17일 구속 상태로 검찰에 넘겨졌습니다.경찰은 이들이 빼낸 비트코인 25개를 돌려받았고 나머지 범죄수익에 대해서도 모두 몰수해 추징할 계획입니다.경찰 관계자는 이들의 범행이 인간적 신뢰 관계를 악용한 '사회공학적 해킹'이라며 "니모닉코드를 남에게 공유하는 것은 디미중 간 '무역전쟁'이 심화하면서 국내 수출 기업의 절반 이상은 올해 공급망 조달 여건이 작년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업들은 중국의 원자재 수출통제보다 미국의 무역 제재가 공급망 위기에 미치는 악영향이 더 크다고 우려했습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트럼프 2기, 미국과 중국의 수출통제에 따른 우리 기업의 공급망 리스크 인식과 시사점' 보고서를 오늘(27일) 발표했습니다. 이 보고서에는 작년 기준 50만 달러 이상 수출 실적을 보유한 제조기업 740곳을 대상으로 지난 2월 24일∼3월 10일 실시한 공급망 위기 관련 설문 결과가 담겼습니다. 트럼프 2기, 글로벌 공급망 조달 여건 및 기업 규모별 설문 결과 응답률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3.4%는 트럼프 2기 이후 글로벌 공급망 조달 여건이 작년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공급망 조달 상황이 '지난해와 유사할 것'이라는 답은 41.4%였으며 '개선될 것'이라는 답은 5.5%에 불과했습니다. 기업 규모별로 공급망 여건 악화를 전망한 비율은 중견기업(55.1%)과 중소기업(53.5%)이 대기업(36.8%)보다 1.5배 안팎으로 높았습니다. 업종별로는 가구 및 인테리어(76.9%), 섬유 및 의류(65.4%), 이차전지(63.9%),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60.7%), 가전 및 스마트 디바이스(59.4%), 화학 및 석유화학(56.4%), 기계 및 장비(56.2%), 철강 및 금속(55.8%), 전기차 및 수소차(54.5%) 등 기업의 공급망 우려가 컸습니다. 수출 기업의 79.6%는 미국의 무역 제재에 따른 공급망 위기에 대해 '심각하다'(매우 심각 30.9%·조금 심각 48.8%)고 답했습니다. 42.4%가 중국의 원자재 수출통제로 인한 공급망 위기에 대해 '심각하다'(매우 심각 11.8%·조금 심각 30.7%)고 답한 것을 고려하면, 기업들은 '미국발 리스크'를 '중국발 리스크'보다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무역 제재에 따른 공급망 위기 인식 및 중국 수출통제에 따른 공급망 위기 인식 이어진 설문에서도 트럼프 2기, 미국의 제재에 따른 공급망 조정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65.8%로, 중국 제재에 따른 공급망 조정 필요성(3
- 이전글https://simpl-gruz. 25.04.27
- 다음글평범한 일상: 소소한 행복의 순간 25.04.2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