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로켐로고

(주)하이드로켐
HOME 공지사항

고객지원

  • 고객지원
  • 온라인문의
  • 고객지원

    CONTACT US 031-8084-3686

    평일 오전9시 - 오후6시
    토,일,공휴일 휴무

    온라인문의

    100세 자이니치 1세대는 누가 돌볼까···재일동포 ‘개호’ 현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진주꽃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54회   작성일Date 24-06-11 22:25

    본문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지난 4일 오전 11시. 오사카 재일동포 요양시설 ‘산보람’의 체조 시간. 숫자 구령이 나오자 구순이 넘은 어르신 6명이 체조를 시작했다.
    일제 강점기에 넘어와 평생 일본말을 써왔지만 지금은 한국 숫자에 더 반응이 빠르다. 갈수록 기억은 옅어지는데 고향말은 전보다 또렷하다.
    고경일 산보람 이사장은 치매 어르신 중에는 그간 써왔던 일본어는 다 잊고 한국어만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며 어린 시절 먹었던 음식, 들었던 노래, 쓰던 말을 본능적으로 찾는다고 말했다.
    산보람이 돌보는 어르신은 모두 60명. 100세를 바라보는 자이니치(재일동포) 1세대로 대부분 제주도 출신 여성들이다.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은 산보람 직원이 직접 집에 방문해 식사나 목욕을 챙긴다. 대신 장을 보고 생필품을 챙기는 것도 주요 ‘홈 서비스’이다.
    움직임이 수월한 어르신은 오전 9시30까지 요양시설로 모셔와 오후 4시까지 보살핀다. 식사와 목욕 서비스를 시작으로 레크레이션과 체조로 건강을 챙긴다. 식단은 주로 한식으로 짠다. 김치 역시 빠지지 않는다.
    산보람이 돌보는 어르신 중 9명은 요양시설에 거주하면서 24시간 보살핌을 받는다. 지난 4월15일 100세 생일을 맞은 김춘생 할머니도 산보람에 산다. 젊은날 고향 제주도를 떠나 이국 땅에서 평생 가난과 차별을 견디며 살았다.
    김 할머니는 연금 혜택을 받지 못한다. 일본 ‘국민 연금’ 제도가 도입된 1961년 당시 일본 정부는 자이니치를 연금 가입 대상에서 제외했다. 정부가 공식적으로 자이니치를 자국민으로 인정하지 않은 셈이다. 대부분의 자이니치 1세는 김 할머니처럼 연금 혜택을 받지 못한다. 받는다 해도 금액이 적다. 자이니치 1세가 생활고를 겪는 이유이다.
    김 할머니는 생활보호대상자로 매달 생계 수급비를 받아 요양비로 쓴다. 직원들의 보살핌 덕분에 컨디션은 좋지만 최근 들어 치매 증상이 짙어지고 있다.
    김 할머니는 100세 생일 잔치를 한 기억이 난다며 그거 말고는 아무것도 모르겠다. 머릿속이 복잡하다고 했다.
    자이니치 1세는 자이니치 3세가 돌본다. 산보람 직원 총 25명 가운데 19명이 재일동포다. 고 이사장 역시 재일동포 3세다.
    요양시설에서 의도적으로 한국 핏줄 직원만을 채용하는 것은 아니다. 채용공고를 내면 주로 재일동포가 지원한다.
    반면 일본인은 재일동포 시설에서 일하기를 꺼린다. 문화가 달라 일이 쉽지 않겠다는 판단에서다. 가뜩이나 일본에서 개호(돌봄)는 임금 수준이 낮고 노동강도가 높아 인력난이 심각한 업종이다. 이 때문에 재일동포 시설에서는 직원을 구하기가 더 어렵다.
    고 이사장은 재일동포는 기본적으로 ‘내 민족은 내가 돌보는 게 당연하다’는 인식이 기저에 깔려있다며 다만 갈수록 그런 동족 의식이 옅어지고 있어서 앞으로는 재일동포를 돌보는 시설도 사람도 사라질 지 모른다고 했다.
    산보람 내 일본인 직원은 5명 뿐이다. 이들은 특별하다. 할머니의 아픔을 치유해야 하는 임무가 있다. 할머니가 일본인에게 받은 차별의 한을 풀어주는 역할이다.
    고 이사장은 일본인 직원이 극진하고 친절하면 할머니들이 ‘그래도 착한 일본인이 있구나’ 생각하고 차별의 상처가 아문다며 일본 직원이 들어오면 ‘할머니가 일본인에 대한 한을 품을 채로 인스타 팔로우 구매 돌아가시지 않도록 해달라’고 당부한다고 말했다.
    산보람은 정부 지원 없이 운영하기 때문에 재정이 넉넉하지 않다. 주오사카 한국 영사관과 할머니의 ‘고향’ 제주도에서 종종 생필품 지원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도움이 필요하다. 고 이사장은 이분들의 삶이 차별의 아픔으로 끝맺지 않고 자신의 생, 삶에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해 돌볼 것이라며 이제는 경제적으로 풍족한 한국이 이들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고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