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로켐로고

(주)하이드로켐
HOME 공지사항

고객지원

  • 고객지원
  • 온라인문의
  • 고객지원

    CONTACT US 031-8084-3686

    평일 오전9시 - 오후6시
    토,일,공휴일 휴무

    온라인문의

    ‘이주민 225만 시대’에 긴급 재난문자는 한글로만 발송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진주꽃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66회   작성일Date 24-06-15 11:58

    본문

    전남 영암의 한 제조업체에서 일하는 캄보디아 출신 이주노동자 A는 지난 12일 오전 어리둥절 했다. 출근 직후인 오전 8시27분쯤 휴대전화에서 경보음이 울리며 문자메시지가 왔지만 한글을 잘 몰라 무슨 일인지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A씨는 긴장한 표정의 한국 동료들의 표정 등을 통해 ‘무슨 일이 있구나’라고 짐작만 했다고 한다. 재난 문자에는 ‘전북 부안에서 규모 4.8의 지진이 발생했으니 낙하물이나 여진에 주의하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지만 A씨는 대피는 생각하지도 못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재난 상황에서 휴대전화로 발송하는 ‘긴급 재난 문자’가 한글로만 발송되고 있어 이주민들이 이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노동단체는 국가인권위원회에 시스템 개선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문길주 광주·전남노동안전지킴이 운영위원은 13일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사무소에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긴급 재난 문자’ 발송 시스템을 개선해 달라는 내용의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정부와 지자체는 재난이 발생하면 국민에게 이를 신속하게 알려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긴급 문자를 발송하고 있다. 하지만 문자는 대부분 한글이다. 일부 영어가 포함된 경우가 있지만 ‘특별한 상황’에만 허용된다.
    실제 지난 12일 부안 지진 때 정부와 지자체가 보낸 재난 문자는 대부분 한글이었다. 기상청이 처음 보낸 문자에는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 지역 M4.7 지진/낙하물, 여진 주의 국민재난안전포털 참고대응 Earthquake(지진)’라고 적혀있었다.
    지진 발생 지역과 규모, 주의 사항 등이 담겨있지만 한글을 모르는 사람은 이해하기 어렵다. 한글 외에 지진 발생 사실은 알 수 있는 단어는 ‘Earthquake’ 뿐이다.
    전남도와 기초 자치단체 등도 자체 ‘안전 안내 문자’를 추가로 보냈다. 문자에는 ‘낙하물로부터 몸 보호, 진동 멈춘 후 야외대피’ 등 행동요령과 ‘추가 여진 우려’ 등의 당부가 적혀있었지만 역시 모두 한글로만 발송됐다.
    문 운영위원은 이주민들에게도 재난 문자가 한글로 발송되면서 무슨 뜻인지 몰라 대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서 지진·폭우·폭염·폭설 등 재난 상황에서 이주민들에게 각 나라 언어로 문자를 보내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현황’ 자료를 보면 2022년 11월1일 기준 한국에 3개월 이상 장기 거주하는 외국인주민은 225만8248명에 달한다. 한국 총 인구(5169만2272명)의 4.4%다. 이들 중 175만2346명은 한국 국적을 갖고 있지 않았고 이주노동자는 40만3139명에 달한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현재 사용 중인 재난 문자 발송 시스템으로는 여러 나라 언어 등으로 발송할 방법이 없다면서 외국인들이 많아지고 있는 상황인 만큼 정부에 개선 등을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대구지부는 11일 대구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폭염기 안전한 학교를 위해 적정 인력을 배치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노조는 학교비정규직 중 급식실·환경미화·시설관리직종 등이 직접적인 폭염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급식 노동자들이 담당하는 식수인원이 과다한 노동에 내몰리고 있다는 입장이다. 특히 한여름 폭염에는 급식실에 냉방기가 설치돼 있어도 노동자들이 현기증과 구토 등의 증상을 보이고 심할 경우 열탈진으로 병원에 실려가기도 한다는 것이다.
    노조는 가만히 있어도 온몸이 땀에 젖을 정도의 날씨에 급식실의 가열기구 앞에서 일하는 것은 고역이라면서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열기와 폭염의 온도가 더해져 급식실의 체감온도는 55도까지 치솟는다고 밝혔다.
    노동자들은 조리원 1인당 식수인원이 50여명인 다른 공기관에 비해 대구교육청은 급식노동자 1명이 140여명의 식사를 감당하도록 배치했다고 주장했다. 이때문에 급식노동자들이 짧은 시간 안에 수많은 인원의 식사를 준비해야하는 고강도 노동환경에 처했다는 것이다.
    또 특수·기숙사 학교를 제외한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환경미화 노동자 1명이 학교 전체 건물의 화장실 및 기타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구역을 도맡아 청소하고, 시설관리 노동자 역시 옥외 노동으로 땀이 식을 틈이 없다고 노조는 지적했다.
    환경미화·시설관리 노동자를 위한 휴게실 및 샤워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제대로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땀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범벅이 된 채로 퇴근해야 하는 처지이다.
    교육공무직노조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지역 학교·기관 휴게소 설치 실태조사 결과 환경미화원 휴게실의 경우 전체 학교 520곳 중 291곳(56%)만 휴게실이 설치돼 있었다. 휴게실 설치는 폭염대비 뿐만 아니라 2022년 8월 고용노동부에서 의무화 제도를 발표했을 정도로 노동자의 건강권을 위해 중요한 사안이라고 노조측은 설명했다.
    공무직노조는 휴게실이 없는 노동자들은 계단에서 쉬거나 당직·숙직실에서 눈치보며 한숨을 돌린다면서 환경미화 노동자 대부분이 60세가 넘는 고령층인데, 이들이 폭염기간에 쓰러지지 않도록 충분한 휴식시간 등이 제공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대구교육청은 지난달 16일 ‘폭염 대비 현업근로자 온열질환 예방 대책’을 시행했다. 이는 지난해 산업안전보건위에서 가결된 ‘온열질환 대책을 위한 노사협의회’를 근거로 마련됐다. 노조는 그러나 강제성이 없는 권고 수준이어서 현장에서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라는 입장이다.
    교육공무직노조는 극심한 폭염이 오더라도 노동자가 쓰러지지 않고 일할 수 있는 적절한 배치기준과 인력 강화 같은 근본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면서 노사가 협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