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로켐로고

(주)하이드로켐
HOME 공지사항

고객지원

  • 고객지원
  • 온라인문의
  • 고객지원

    CONTACT US 031-8084-3686

    평일 오전9시 - 오후6시
    토,일,공휴일 휴무

    온라인문의

    키오스크 앞 디지털약자, 가장 힘든 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진주꽃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59회   작성일Date 24-06-16 00:10

    본문

    무인단말기(키오스크) 설치가 확대되면서 디지털 약자의 관련 기기 이용 경험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고령층·장애인들은 작동 방법보다는 ‘뒷사람 눈치’ 등으로 여전히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들이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사용해본 비율은 2~5%에 불과해 새로운 격차도 생겼다.
    서울디지털재단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 서울시민디지털역량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19세 이상 서울시민 5500명(고령층 2500명, 장애인 500명 포함)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10명 중 8명은 키오스크를 이용한 경험이 있었다. 총 81.7% 수준으로, 2021년 실시한 조사 결과(76.9%)보다 4.8%포인트 상승했다.
    고령층과 장애인은 각각 57.1%, 58.9%가 키오스크를 이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키오스크 이용 중 어려움을 겪었던 적이 있었냐는 질문에는 고령층은 59.6%, 장애인은 60.9%가 ‘있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 고령층과 장애인 모두 작동법의 어려움보다 ‘뒷사람의 눈치가 보여서’를 더 많이 들었다. 그중에서도 장애인은 ‘사용 중 도움을 요청할 방법이 없어서’(63.6%)를 1순위로 꼽았다.
    생성형 AI의 경우 서울시민 55.3%는 알고 있고, 15.4%는 사용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령층과 장애인은 이를 알고 있는 비율이 각각 24.1%, 25.9%이고 사용 경험자는 2.3%, 5.6%에 그쳤다.
    갓 100일 넘은 아들은 심장병을 앓았어요. 남편은 늦깎이 신학대학원생이었고요. 집에 공부방을 차려 아이를 돌보며 돈을 벌었어요. 그런데 남편이 학교를 그만두고 또다시 새로운 도전을 하겠다는 거예요. 기가 막혔습니다.
    양승희씨(55)는 26년 전 남편이 처음 제빵사가 되겠다고 할 당시를 이렇게 설명했다. 그러면서 고집을 꺾을 수 없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말리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남편 서용상씨(54)는 지난해 프랑스 최고의 ‘플랑’ 장인을 가리는 제빵대회에서 1등을 차지했다. ‘플랑’은 프랑스인의 ‘국민 간식’이다. 2013년엔 유럽인의 ‘쌀밥’인 바게트 제빵 대회에서 한국인 최초로 입상했다. 프랑스의 수도 파리에 빵집을 낸 첫 한국인도 그였다. 지난해 국내 방송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에서도 소개가 됐다. ‘프랑스인이 한국에서 최고의 김치 장인으로 인정받은 격’이라는 찬사가 그에게 따라붙는 이유다.
    부부는 최근 자신들의 이야기를 담은 책 <나는 파리의 한국인 제빵사입니다>를 냈다. 지난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10일 인터뷰에서 부인 양씨는 지난해 방송이 나간 뒤 한 한국분이 남편을 찾아왔다. 삶을 포기하려다 남편의 사연을 듣고 마음을 고쳐먹었다고 했다. 우리의 삶을 다른 이에게 들려주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부부의 삶은 ‘무모함’의 연속이었다. 물리학도에서 철학도로, 다시 신학자로 진로를 바꿨던 서씨는 30살의 나이에 또다시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늦깎이 제빵회사 견습생이 됐지만 경쟁자들은 이미 6~7년의 경력이 있었다. 경쟁력을 갖추려 제빵 산업이 발달한 일본으로 연수를 떠났다. 그러나 학생 비자를 받지 못해 2주 간격으로 한국과 일본을 오가는 생활을 반복했다. 1년 뒤 온 가족이 빵의 본고장인 프랑스로 향했다. 들고 간 돈은 1억원이 채 안 됐다. 연고도 경험도 없고, 프랑스어도 못했다.
    서씨는 빵 하나에 모든 걸 걸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친 짓일지 몰라도, ‘빵을 제대로 만든다’는 목표를 놓고 보면 다시 오지 않을 기회였고 그에 따른 위험이나 고생은 대가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아내 양씨는 프랑스 정착 초기 정식 급여를 받지 못하는 연수생 신분일 때에도 남편은 매장에서 전화가 오면 언제든지 나갔다며 연수가 끝난 뒤 해당 업체가 남편과 동업을 해줘서 프랑스에 남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직접 구우면 품이 많이 드는 탓에 프랑스 빵집 80%가 공장에서 바게트를 사 와 ‘전통 바게트’인 것처럼 판다라며 그런데도 남편은 하루 7번씩 진짜 ‘전통 바게트’를 구워냈다라고 덧붙였다.
    서씨는 ‘왜 빵이냐’는 질문을 수없이 받았다고 했다. 그는 아직도 그 이유를 잘 모르겠다라며 내가 확실하게 아는 건 내가 빵 만드는 걸 좋아한다는 것, 그리고 그 일을 하지 않으면 가슴이 공허해질 거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신과 같은 삶을 권유하지는 않는다고 했다. 그는 내가 실패하지 않은 건 사실 운 때문이라며 프랑스에서 내게 연수 기회를 주고 동업해 준 업체 대표, 그 대표를 소개해 준 어학원 선생님, 내가 외면한 현실을 직시하면서도 나를 믿어 준 아내, 이런 행운들이 없었다면 실패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다만 꼭 그렇게 살아야겠다면 하나에 모두를 거는 바보가 되라고 말하고 싶다고 말했다. 성공할 때까지 계속되는 실패를 버티려면 그 수밖에 없는 것 같다고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