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정보)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페이지 정보

본문
법률정보 2024년 9월 주요 판결 목록1. 대법원 2024. 9. 13. 선고 2024다234239 판결 [부당이득금] - 조합의 해산에 따른 잔여재산 분배청구와 조합의 탈퇴에 따른 지분반환청구의 구별이 문제된 사건2. 대법원 2024. 9. 13. 선고 2020다245552 판결 [손해배상(기)] - 대표이사 해임을 이유로 손해배상을 구하는 사건3. 대법원 2024. 9. 13. 선고 2024다256116 판결 [임대차보증금] - 임대차목적물이 인도되어야 임차인의 차임지급의무가 발생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4. 대법원 2024. 9. 13. 선고 2023도16588 판결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위반] - 무효인 총회의결에 따라 재개발조합 조합장으로 선임된 사람의 관련 자료 법률정보 미공개 및 열람·복사 불응이 문제된 사건5. 대법원 2024. 9. 13. 선고 2024두40493 판결 [부당인사발령및부당대기발령구제재심판정취소] - 대기발령에 대해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을 할 이익이 인정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6. 대법원 2024. 9. 13. 선고 2021두54293 판결 [증여세부과처분취소] - 학교법인이 매매 또는 신축행위를 통해 취득한 부동산의 매각대금이 구 상증세법 제48조 제2항 제4호의 '출연받은 재산의 매각대금'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7. 대법원 2024. 9. 12. 선고 2022다294084 판결 [부인의소송] - 동산 소유권유보부매매 매수인에 대한 파산절차에서 매도인의 지위가 문제된 사건8. 대법원 2024. 9. 12. 법률정보 선고 2024다250873 판결 [근로에관한소송] - 대기발령을 받은 근로자가 대기발령 사유가 없거나 대기발령이 부당히 장기간 유지되어 무효라고 주장한 사건9. 대법원 2024. 9. 12. 선고 2024다239364 판결 [손해배상(기)] - 공인중개사가 부동산 중개 과정에서 임대차보증금 반환채무가 매수인에게 면책적으로 인수되지 않는다는 사정을 설명할 주의의무가 인정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10. 대법원 2024. 9. 12. 선고 2021두35308 판결 [법인세부과처분취소] - 손해배상금의 손금산입 여부가 문제된 사건11. 대법원 2024. 9. 12. 선고 2021두51881 판결 [종합소득세부과처분취소등] - 홍콩에 설립된 외국법인의 주식 등이 정관에 의하여 양도가 제한된 법률정보 경우로서 구 국세기본법 제40조 제1항 제2호에서 정한 법인의 제2차 납세의무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12. 대법원 2024. 9. 12. 선고 2022두64143 판결 [양도소득세등부과처분취소] - 국내 소재 상속재산가액을 초과하여 상속세를 부과한 사건13. 대법원 2024. 9. 12. 선고 2021도14712 판결 [주택법위반] - 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 위원장의 관련 자료 미공개가 문제된 사건14. 대법원 2024. 9. 12. 선고 2024도5033 판결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위반(향정)ㆍ범인도피] -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40조의2 제2항에 따른 수강명령 또는 이수명령 대상인 '마약류사범'의 의미가 문제된 사건15. 대법원 2024. 9. 12. 법률정보 선고 2022두43405 판결 [교원소청심사위원회결정취소] - 사립학교법인이 임기를 마친 교장의 원로교사 임용신청을 거부한 사건16. 대법원 2024. 9. 12. 선고 2020도12920 판결 [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 - 교사의 훈육 목적 행위가 '정서적 학대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 등이 문제된 사건17. 대법원 2024. 9. 12. 선고 2020도14843 판결 [사기] - 법원이 해외에 체류 중인 사람에 대하여 선서 없이 인터넷 화상장치로 진술을 청취한 경우 그 진술 녹음파일과 녹취서의 증거능력이 문제된 사건18. 대법원 2024. 9. 12. 선고 2021도14485 판결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위반] - 재건축조합 추진위원회 위원장이 토지등소유자의 열람·복사 법률정보 요청에 불응한 사건19. 대법원 2024. 9. 10. 자 2023모1766 결정 [비용보상청구일부인용결정에대한재항고] - 형사소송법 제194조의2 제2항 제1호에서 정한 무죄판결 확정 후 비용보상의 소극적 요건 해당 여부 및 비용보상의 절차규정 준수 여부가 문제된 사건이 중 임대차 관련 사건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대법원 2024. 9. 13. 선고 2024다256116 판결 쟁점은 임대차목적물이 인도되어야 임차인의 차임지급의무가 발생하는지 여부 입니다.판결요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임대인과 임차인의 의무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임대차계약이 유효하게 성립하면 발생- 상대방의 의무 이행이나 이행의 제공이 있어야 비로소 발생하는 것이 법률정보 아님- 임차인의 차임 지급의무는 목적물 인도 여부와 무관하게 임대차계약의 효력으로서 발생- 단, 임대인이 목적물 사용·수익 의무를 불이행하여 지장이 있으면, 임차인은 차임 지급을 거절할 수 있음[무사언니 생각]목적물을 인도하지 않아도 임대차계약은 적법하게 성립하였다면 유효하다. 그러나 차임지급의무는 발생하지 않음. (인도 의무와 차임 지급 의무는 대응 관계에 있으므로) 임대인의 의무에는 임차인이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취득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의무도 포함됩니다. 상가 분양권 매매사안인 듯 한데요. 매수인이 근저당을 설정한 후에, 매도인과 임대차계약을 맺은 임차인에게 차임을 청구한 것으로 보이네요. 본래의 임대인과 임차인 사이에는 법률정보 어떤 사유인지 마찰이 생겨, 보증금 잔액을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지급하지 않았고, 이에 따라 교착 상태에 빠진 것으로 보입니다. 상황을 탈피하고자 원 임대인은 상가를 팔아버린 듯 하고요. 보증금, 차임 다 못 받고 있으면 유지를 못하겠지요. 임차인은 당연히 인도를 못 받았으니, 사업자등록을 못했을테고, 그러면 대항력, 우선변제권 모두를 얻지 못하잖아요. 그 상태에서 매수인이 근저당 설정을 해버리면, 도저히 임대차계약이 유효하다고 하고 그 상황에서 인도를 받을 임차인이 어디있겠으며, 차임을 주지 않아도 되는 관계라면 그 계약은 의미가 없겠죠.그나저나 근저당설정까지 하고 차임달라고 청구하는 매수인은 법률정보 무슨 생각으로 그랬을지요??
- 이전글Отель Мишель 3 в Ан 24.12.01
- 다음글과학의 경이: 자연 법칙의 해석 24.12.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