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로켐로고

(주)하이드로켐
HOME 공지사항

고객지원

  • 고객지원
  • 온라인문의
  • 고객지원

    CONTACT US 031-8084-3686

    평일 오전9시 - 오후6시
    토,일,공휴일 휴무

    온라인문의

    5대 은행 주담대 증가폭 ‘역대 최대’···‘0%대 금리’ 시절도 넘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진주꽃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42회   작성일Date 24-08-29 06:14

    본문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과 신규 취급액이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수도권 고가 주택을 중심으로 매매가 활발해진 영향이다. 금융당국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한도 축소 등 가계대출 억제를 위한 가능한 조처를 전방위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말 주담대(전세자금대출 포함) 잔액은 전달보다 7조5975억원 증가한 559조750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은행들이 인스타 팔로우 구매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6년 1월 이후 월간 최대 증가 폭이다. 앞서 ‘영끌’ 열풍을 불러온 2020~2021년 0%대 초저금리 시기 때보다 주택 구입을 위한 대출 규모가 더 커진 인스타 팔로우 구매 것이다. 이달 들어 5대 은행에서 증가한 주담대는 지난 22일 이미 6조1456억원에 달해, 월간 기준으로 최대 기록이 또 다시 경신될 가능성이 높다.
    지난달 주담대 신규 취급액도 3년 전 수준을 훌쩍 뛰어 넘었다. 일례로 한 시중은행이 지난달 주택구입 목적으로 내준 주담대 신규 취급액(정책대출 포함)은 2조9873억원으로 인스타 팔로우 구매 ‘영끌’이 절정에 달했던 2021년 8월(1조8074억원)보다도 1조1000억원 이상 많았다. 다른 시중은행도 지난달 1조1629억원을 같은 조건의 주담대로 대출, 앞서 신규 취급액 정점을 찍었던 2011년 11월의 9102억원을 크게 웃돌았다.
    주요 시중은행들은 최근 한달 새 20회 가량 주담대 금리를 올리며 가계부채를 관리해왔지만, 효과는 미미했던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에서는 금리 인상에도 이어진 주담대 폭증을 수도권의 고가 주택 중심으로 매매가 활발해진 영향 등으로 보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오랜만에 주택 매매 시장이 살아났는데, 특히 고가 주택이 많은 수도권 중심으로 매매가 활발해지다보니 대출 규모도 급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택 매매 시장의 수도권·고가 주택 쏠림 현상은 통계로도 드러난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의 월별 아파트 매매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년 2월 이후 처음으로 지난 6월 전국 아파트 매매 건수 중 수도권 비중이 50%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 시중은행들의 주담대 신규 취급액 중 수도권 담보 물건에 대한 비중은 70% 안팎으로 높은 편이었다.
    수도권에서 주로 매매되는 주택의 가격도 올랐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2일까지 올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 매매거래 가운데 9억원 초과 물건의 거래 비중은 23.7%에 달했다. 2021년(14.99%)보다 9%포인트가량 늘어난 것이다.
    금융당국은 추가 억제책을 검토하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단순히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하나로는 안 된다며 9월 이후에도 대출이 증가하는 흐름이 나타나면 지금 하는 것 이상으로 강력하게 하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DSR 규제 한도를 기존 40%에서 35%로 축소하는 안을 비롯해 전세자금대출 보증 비율 하향, 주택담보대출 거치기간 폐지,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강화 등 다양한 대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가능한 조치들을 다 테이블에 올려놓고 보고 있다면서 관리 목적 DSR 산출 이전에 2018년부터 시행 중인 은행별 포트폴리오 DSR(은행이 신규 취급한 가계대출의 평균 DSR)을 보면 이미 규제 수준보다 낮은 33~35%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DSR 규제 확대 가능성을 시사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